누나가 그랬다. 우리 동네에 홍대에 있는 것 같은 카페가 있다고, 가보라고. 갔더니. 홍대에 있는 것 같은 카페가 하나 있었다. 문을 연지 얼마 안됐나. 목재 냄새가 아주 그냥. 그래도 이런거 열어줘서 고맙네. 옛날의 아줌마들이 할머니가 되면서 주부들이 점점 세대교체 되어가고 덕분에 동네가 젊어져 가는 것 같다. 애써 차타고 나서지 않아도 더 많은 일들이 일어나는 동네가 됐으면 한다. 필요하면 내가 만들어 줄 수도 있다. 왜냐. 난 동네를 공부하는 사람이니까. 여기 커피가 무슨 맛이었는지, 와플이 무슨 맛이었는지 맛있었는지 없었는지. 냄새가 최고였어. 다음에 또 가자.
아 맙소사 이걸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. 마지막의 월드트레이드센터 장면으로 인해 영화의 장르가 사라져 버렸다. 웃음만이 나는구나. 이전까지의 밋밋하고 확 튀는 것 없이 슬슬슬슬 흘러가는 이야기와 음악들은 정말 마음에 들었었는데, 왠지 마이 블루베리 나이츠의 분위기가 자꾸 생각나게 하는 영화였는데, 순간. 라스트 갓 파더보다 더 헛웃음이 나오는 영화가 되었다. 뭐 영화를 씹자는게 아니라 내가 그 의도를 잘 모르겠다는거다. 만약 이영화의 별점을 준다면 별다섯개 만점에 남자 주인공이 아버지의 사무실에서 창 밖을 바라보는 장면까지만 해서 네 개 주겠다. 허허 자꾸 생각나.ㅎㅎㅎㅎㅎㅎ 아 배신당한 기분.
이게 불어인지 러시아어인지 억양 때문에 시종일관 정신 사납다. 그 덕분에 정신안차리면 이게 무슨 소리고 어디로 가는건지 모를 '뻔'했지만 큰 줄거리가 워낙 단순하다보니 그런거 놓칠 위험은 없었다. 영화가 코믹함 속에서, 무거움 속에서 음악을 이야기 하는데 역시나 정신 사납다. 허나 사람은 끝이 좋으면 앞은 다 잊나보다. 이 마지막 공연장면을 몇 번이나 돌려보고, 차이코프스키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찾아서 얼마나 들었는지 모른다. 음악 영화는 역시나 음악이 살린다.
감독 : 대런 아로노프스키 출연 : 나탈리 포트만, 밀라 쿠니스, 뱅상 카셀, 바바라 허쉬, 위노나 라이더 다음 영화 페이지에 누군가 이 영화에 대해 이런 평가를 내렸다. "나탈리의 연기... 그리고 아무것도 없음. 스토리는 진부하고, 한줄짜리 내용을 100분 동안 늘린 영화." 아. 이 평은 나의 생각과 너무나 흡사하다. 다만 몇 가지 표현을 바꾼다면 말이다. "스토리는 진부할 정도로 단순하다. 한줄짜리 내용을 100분 동안 늘린 영화. 하지만 나탈리의 연기... 연출과 음악 때문에 미친듯이 심장뛰게 만드는 영화." 이정도? 내 영화 취향은 복선많은 복잡한 스토리보다는 영상, 음악, 연기력이 중심이 되는 연출력 쪽인 것 같다. 그래서 더 이 영화가 끌리는건지도 모르겠지만, 지켜보니 나 아닌 많은 사람도..
안산시 시화호 인근의 구릉지에 남아있는 성지이다. 별망성은 서해 바다를 지키는 군사 시설으며 한국전쟁때 파괴된 것을 복원한 것이다. 원래의 길이가 1km가 넘었다고 한다. 현재의 모습을 보면 북쪽과 북서쪽을 지키는 것 같은데 지금의 해안선을 봤을때는 당췌 무엇을 지키려고 한 것인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. 별망공원으로 지정되어 보전하고 있으며 매년 안산별망성예술제가 열린다. 우리나라의 복원물을 볼때마다 항상 느끼지만 잘 못한다. 콘크리트 남발은 자제해 주세요. 쓰레기가 바람을 타고 날아와 이곳에서 쉬고있네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펜
- movie
- 부천시
- Nikon F100
- memo
- 서울
- 리뷰
- kyoosang
- 홍콩
- DIGITAL
- 마음흔적
- 책
- 부천
-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.
- 집
- 그림
- 사진
- 제주도
- 영화
- 다짐
- 여행
- 여름이
- 드로잉
- 토이카메라
- music
- 하늘
- Drawing
- Book
- 일상
- F100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